2010-07 | 건강불평등 해소를 위한 로컬 보건의료 거버넌스(Local Health Care Governance)체계의 구축방안 : 영국 Health Action Zones 사업의 분석 및벤치마킹 | 김순양 |
2015-05 | 고도경제성장기 사회복지의 제도화과정에 대한 정치적 해석:1960-70년대 박정희정권 시기를 중심으로 | 김순양 |
2014-09 | 고도경제성장기의 사회정책 형성체계 및 형성과정 분석: 1970년대 연금보험과 의료보험의 제도화과정 비교 | 김순양 |
2013-02 |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만족도 및 영향요인 분석 -학교급별 차이를 중심으로- | 김순양; 고수정; 권은영 |
2012-12 | 교육복지정책에 대한 일선교사의 만족도 분석 : 교육복지우선지원 사업영역별 및 세부사업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| 김순양; 전기우 |
2012-06 | 교육효율성 측면에서의 지방자치단체 간 교육격차의 비교 · 분석: 자료포락분석(DEA) 기법의 적용 | 김순양; 윤기찬[윤기찬] |
2012-12 | 다문화가정 학생의 교육불평등 (educational inequality) 해소를 위한 다문화교육 지원사업의 우선순위 모색 | 김순양; 신영균 |
2015-06 | 동아시아의 발전국가와 사회정책: 한국의 사례를 통한 발전주의 복지체제론의 주장들에 대한 재검토 | 김순양 |
2012-06 | 미국의 교육불평등(educational inequality)에 대한 조기 개입 정책: 헤드스타트(Head Start)의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도출 | 김순양; 고수정 |
2011-06 | 미국의 사회적 기업 지원 체계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| 김순양 |
2015-02 | 발전국가의 이원적(二元的) 노동통제정책 분석 : 1961-1987년 | 김순양 |
2010-06 | 보건의료 정책과정에서의 옹호연합(Advocacy Coalitions)의 형성과 작동 - 의약분업 및 의료보험통합 논쟁 사례의 비교・분석 - | 김순양 |
2013-08 | 복지행정분야 연구논문의 경향 분석: Network Text Analysis를 중심으로 | 김순양; 고수정 |
2010-08 | 사회적 기업에 대한 효율적인 정부지원시스템 구축방안: 정부지원을 위한 기준 설정 및 행정체계 확립을 중심으로 | 김순양 |
2014-06 | 성과관리형 자활사업의 연계성 제고방안 고찰: 희망리본사업과 취업성공패키지의 경우를 중심으로 | 김순양 |
2011-12 | 성과기반의 사회적 기업 평가방안: 사회적 기업의 유형을 고려한 평가변수 탐색 | 김순양 |
2012-09 | 우리나라 교육불평등 대처 정책의 우선순위 설정: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한 Borich 요구도 분석(Needs Analysis) | 김순양; 전기우[전기우] |
2015-02 | 인구규모에 따른 지역 간 교육격차 및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: CIPP모형의 적용 | 김순양; 윤기찬[윤기찬] |
2014-12 | 일선 지방행정에서의 행정지도(行政指導)의 실태 및 개선방안 고찰 | 김순양 |
2010-03 | 정책과정분석과 옹호연합모형-이론적・실천적 적실성 검토 | 김순양 |
2010-12 | 정책과정분석에서의 정책네트워크(Policy Network) 모형 - 이론적・실천적 적실성의 검토 및 제언 - | 김순양 |
2012-02 | 지방자치단체의 규모별 건강불평등 및 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| 김순양; 윤기찬[윤기찬] |
2015-08 | 지속가능한 복지국가를 위한 시장(市場)의 역할 제고방안 고찰 | 김순양 |
2011-12 | 지역사회의 교육불평등(educational inequality) 해소를 위한 정책적 우선순위의 탐색 : 대구‧경북의 ‘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’을 중심으로 | 김순양; 전기우 |
2010-01 | 청소년의 반사회적 행동에 대한 효율적 대응방안의 모색 | 김순양 |
2014-05 | 한국 성평등 정책결정과정의 정치: 신념체계, 거부점, 그리고 기회의 창 | 김순양 |
2011-12 | 한국에서의 의료보험조합 통합일원화 논의의 정치 : 정책 네트워크, 옹호연합, 그리고 보건의료 정책형성의 동태성 | 김순양 |
2012-03 | 한국의 발전국가와 사회정책 간 관계의 재해석 - 1960-70년대 고도 경제성장기의 경우 | 김순양 |